(역자 주: 제작자가 작성한 내용은 검은색, 역자가 추가 작성한 내용은 파란색으로 표시됩니다.)


SST를 사용하는 가장 최선의 방법은, 먼저 서로 다른 원문/번역문 언어로 기본 사전을 만드는 것입니다.

스카이림은 한글판이 정식발매되지 않았기 때문에, 한글패치 사용자의 경우 English 버전을 한글로 바꾼 파일을 사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의 실질 사용 목적은 [원문] English -> [번역문] 한글이라 하더라도,
프로그램 언어 설정에서는 [원문] 다른언어 -> [번역문] English로 설정한 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만약 반대로 설정한다면, MCM 텍스트 파일의 경우 저장 후에 일일이 파일명을 변경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깁니다.


이때 Skyrim\Data\Strings 폴더 안에는 반드시 Skyrim_원문언어.string(.ilstrings, .dlstrings) 파일 세 쌍씩이 들어있어야 합니다.
Skyrim뿐 아니라 Update, Dawnguard, Hearthfire, Dragonborn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예시: 원문언어 설정이 renn일 경우, Skyrim_renn.string, Skyrim_renn.ilstring, Skyrim_renn.dlstring ...)
만약 바닐라 원본 string 파일들이 위 폴더 내에 없다면, 이 프로그램의 넥서스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하시면 됩니다.

또한 codepage.txt의 모든 언어 인코딩을 미리 utf8로 설정해두면,
매번 프로그램 실행시마다 메뉴에서 utf8 설정을 변경하지 않아도 한글깨짐 없이 모드를 바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string 파일들이 모두 정확히 설치되어 있다면, 프로그램 상단의 '옵션과 언어 설정' 메뉴에서
원문과 번역문 언어를 설정한 뒤 "캐쉬 생성"에 체크하세요. 이 과정에서 수 초가 걸릴 수 있습니다.



*.esp/*.esm 파일을 불러온 다음, 번역한 뒤 다시 *.esp/*.esm로 저장하세요. 간단하지요.
다만 미리 사전을 만들어 두었다면 아래의 "STRING 편집모드" 부분을 참조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역자 주: STRING 편집모드는 모드에서 STRING을 뽑아내어 STRING 편집모드에서 번역하고,
번역된 STRING 파일들을 모드에 다시 Embeded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번역 방식은
Unofficial Skyrim Patch처럼 마스터 모드와 동일한 FormID 레코드를 가진 모드의 경우 좀더 정확한 번역이 가능했지만,
Fallout4Translator에서 사전 저장/적용 기능이 개선되면서 불필요해졌으므로 이부분 번역은 생략합니다.)


옵션 설정에서 '바로번역 실행'에 체크해두면, 불러온 *.esp/*.esm에서 사전과 정확히 일치하는 원문이 있을 경우
흰색 줄로 바로 일치번역됩니다. 옵션 설정에서 체크해두지 않아도 '번역' 메뉴에서 수동으로 실행시킬 수도 있습니다.
혹은 하단의 '어휘 (사전)' 패널에서 원하는 사전을 우클릭하여 직접 적용시킬 수도 있습니다.

이때 같은 원문에 번역문이 하나만 존재할 경우 [흰색]으로 일치번역 표시되고,
같은 원문에 번역문이 2개 이상 존재할 경우 [보라색]으로 가역 표시됩니다.
보라색 가역 줄은 편집창을 띄워 가장 적합한 번역을 골라 적용시키면 됩니다.

직접 편집하거나 승인한 번역은 [파란색]으로 승인번역 표시됩니다.
사전과 일치하는 원문이 없으면 [붉은색]으로 미번역 표시됩니다.
'번역' 메뉴에서 유사번역을 적용시키면 어휘 캐쉬 내에서 최대한 유사한 번역 결과가 검색되고, 오차 정도는 LD 열에 + 값으로 표시됩니다.
유사번역은 오차 정도가 작을수록 [녹색], 오차 정도가 클수록 [붉은색]에 가깝게 표시됩니다.

문자열을 편집할 때 편집창을 띄우면, 해당 레코드에 포함된 모든 필드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블클릭하면 레코드간에 전환이 이루어집니다. 모든 기능은 STRING 편집모드와 정확히 같습니다.

모든 번역이 완료되면 Ctrl+A키로 모든 줄을 선택한 뒤 우클릭하여 '번역 승인하기'를 누르거나,
'편집 메뉴'에서 '모든 번역 승인처리'를 선택하여 파란색의 승인번역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마음에 들지 않는 번역은 해당 줄을 우클릭하여 '번역 취소하기'를 누르면 붉은색의 원문 상태로 되돌아갑니다.

제작자의 말: 번역할 필드 중에 미처 포함시키지 못한 것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만약 게임플레이 중에 번역되지 않은 데이터를 발견하실 경우, 모드의 이름과 함께 해당 내용을 보고해 주세요.
"records.txt" 파일 안에 추가하실 수도 있지만 신중하게 결정하세요.

제작자의 말2: ESP/ESM을 불러오는 방식은 매우 간단하고 단순합니다.
레코드들은 본래 있어야 할 자리에 그대로 있는 온전한 레코드만이 곧이곧대로 표시됩니다.
간혹 오래된 프로그램으로 편집되거나 다운로드가 불완전하여 데이터가 손상된 ESP일 경우 불러오기에 실패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러한 문제가 생길 경우 TES5Edit나 FO4Edit를 사용하여 해당 ESP/ESM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세요.




(역자 주: 아래 내용은 프로그램이 업데이트되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모드를 번역한 내역은 사용자사전으로 저장해 둠으로써,
모드가 업데이트되었을 때나 다른 모드를 번역할 때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사전의 이름은 [해당모드 이름]_[원문언어]_[번역문언어].SST의 형식으로 구성됩니다.
사전의 이름은 이 형식만 온전히 지킨다면, 다른 이름으로 바꾸어도 무방합니다.
[원문언어]_[번역문언어]가 현재의 언어 설정과 달라지면, 해당 사전은 캐쉬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번역 내용을 사용자사전으로 저장할 때는, 일치번역/승인번역(흰색/파란색)의 정보만이
사용자사전에서 어휘 캐쉬로 추가되어 다른 모드 번역시 활용/참조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사전 저장시 번역 승인처리는 필수입니다.
보라색 가역은 해당 모드의 사용자사전에 저장은 되지만, 어휘 캐쉬에 추가되지 않아 편집창에서 참조할 번역으로서 검색은 되지 않습니다.

Fallout4Translator의 경우 '옵션 설정'에서 '고급 사전 저장 방식'에 체크하면,
같은 모드에서도 모드 버전별로 각기 다른 사전이 저장됩니다.
버전이 바뀔 때마다 내용에 변동이 큰 모드의 경우, 버전별로 번역 결과를 모두 저장하고 싶을 때 유용한 옵션입니다.

TesVTranslator 1.3.5 버전은 사용자사전끼리 병합하거나 사전 내용 편집이 가능하지만,
Fallout4Translator 0.9.5b 버전은 그러한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대신 문자열ID가 포함된 사전이 저장됩니다.
이 기능은 한 모드 내에서 같은 원문에 2개 이상의 번역문이 존재할 경우,
사전을 적용시켰을 때 문자열ID를 구분해 적용시킴으로써 TesVTranslator와 달리 정확한 일치번역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이 프로그램에는 ESP의 번역 내용을 다른 ESP에 덮어씌울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참조: 이때 인코딩은 [번역문언어]로 맞춰집니다.

예시:
원래는 영문이지만 한글패치된 어떠한 모드의 새로운 버전이 나왔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때 "ESP 비교 덮어쓰기" 기능을 이용하면 최신버전의 문자열을 한 줄 한 줄 새로 번역할 필요 없이,
FormID가 일치하는 레코드의 경우 구버전 ESP의 한글패치 번역을 그대로 덮어씌워 이식할 수 있습니다.

단 이 처리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몇가지 주의점이 있습니다:

1) 일부 문자열은 특정 FormID에 바로 연결되지 않고, 레코드 내부에 열거된 경우가 있습니다.
만약 모더가 이러한 레코드 내부의 문자열 필드를 추가/삭제한 경우
"ESP 비교 덮어쓰기"로는 100% 정확한 번역 이식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2) 번역이 덮어씌워진 모든 줄은 보라색의 "가번역" 상태가 되고,
내부에 문자열 필드를 가진 레코드 줄에는 오른쪽에 전구 아이콘이 표시됨으로써
번역 덮어쓰기에 오류가 있을 가능성이 높음을 알려줍니다.

2-1) 만약 전구가 켜진 상태라면, 이는 레코드 내부의 문자열 필드가 여러 개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경우 편집창을 띄우고 [ESP 비교 덮어쓰기 결과] 패널을 클릭하여,
모든 다중 문자열을 확인하고 실제로 오류가 있다면 쉽게 수정할 수 있습니다.
2-2) 만약 전구가 꺼진 상태라면, 이는 레코드 내부의 문자열 필드가 하나뿐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참조: 켜진 전구 표시(다중 문자열 필드 경고)가 있는 줄의 번역은
수동으로 승인번역(파란색) 처리하기 전까지는 사전 캐쉬에 저장되지 않습니다.

3) 모드의 버전이 업데이트되면서 구버전과 FormID는 같지만 문자열 내용이 달라진 레코드가 있을 경우,
ESP 비교 덮어쓰기를 하면 구버전의 내용으로 덮어씌워지게 되므로 최신버전의 변경사항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예시: 어떠한 모드에서 구버전의 마법효과가 "이동속도 20% 증가"이고,
최신버전은 같은 마법효과가 "이동속도 15% 증가"로 내용이 바뀌었을 경우
ESP 비교 덮어쓰기를 하면 최신버전의 내용에 오류가 생깁니다.)
따라서 번역시 ESP 비교 덮어쓰기는 가장 마지막 수단으로 사용하는 편이 좋습니다.

4) 호환패치나 DLC 버전처럼 해당 모드에 필요한 마스터 모드의 개수가 달라진 경우,
FormID 앞부분 두자리 숫자도 바뀌기 때문에 FormID가 일치해야 하는 ESP 비교 덮어쓰기가 적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